커피의 재배지역 및 조건
커피나무가 잘 자라는 곳은 아라비카의 경우, 경사진 언덕과 약간의 평지가 어우러진 곳이 좋으며 로부스타는 주로 평지에서 재배를 하고 있다 또한 표토층이 깊고 물 보유 능력이 좋으며 배수가 잘되는 지형이 우수한 커피 생산에 유리한 지형이다. 적도를 기준으로 고도가 높을수록 기온이 낮아지기 때문에 해발 1000~2000m 정도가 적합하다. 연평균 강우량은 1,200~2,000m 연평균 기온 18~22도인 열대 아열대 기후에 속하는 지역으로서 지구의 적도를 중심으로 남북 회귀선 내에 위치하여 마치 지구의 벨트와 같다고 하여 커피벨트 또는 커피존이라고도 한다 또한 커피 벨트 내에 속하는 지역 중에서도 품질이 좋은 커피를 생산하는 지역의 모양을 조사해 보자면 커피 원산지인 에티오피아의 아라비아 고원지역은 화성 앞의 풍화에 의해 형성된 부식토 함량이 높은 토양이고 브라질의 유명한 테라로사 역시 부식토가 풍부하고 질소, 인산, 석회 포타슘이 다량 함유된 토질로 되어 있어 커피나무가 생육하기에 아주 좋은 토질이다. 또한 동남아시아에 위치한 인도네시아 역시 화산 작용으로 생긴 화산회질과 부식토로 이루어져 있어서 양질의 커피를 생산하고 있다 커피는 고지대에서 천천히 생산될수록 보다 단단하고 밀도가 높아 향과 플레이버가 풍부하고 맛이 좋고 진한 청록색이 된다. 특히 신맛은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좋아진다. 바람이 강한 지역은 나무 키카 작고 가지가 튼튼하며 바람에 강한 품종을 선택해야 하는데 셰이드 트리나 방풍림을 심어 방풍 시설을 해서 재배한다.
커피 수확
커피는 주로 해발 500~1,500m의 고산지대에서 일반적으로 따뜻하고 습한 기후에서 잘 자란다. 커피는 재배지의 조건이 좋을수록 그 맛과 향이 진하고 풍부해지는데 생두의 생산지가 어딘가에 따라 그 맛이 달라지는 것도 이런 이유이다 커피의 재배과정은 묘판을 만들어 커피 종자를 뿌리고 40~60일 후 싹이 나오며 내피가 덮인 상태에서 줄기가 나온다. 기후에 따라 다르지만 발아 후 20~30일 만에 내피를 뚫고 잎이 나오고 종자가 파종하고서 약 5개월 후에 묘목이 된다. 종자를 뿌린 후 약 10개월에 농원으로 이식하고 약 1년 후에 최초의 꽃이 피고 열매도 조금 열리게 된다. 이식된 커피나무는 3~4년이 지나면 수확이 가능하지만 상품화가 가능한 성숙된 커피 열매는 5년 이상 자라야 한다 커피체리가 익 고난 후, 수확하는 방법은 크게 세 종류로 나뉜다
1. 핸드 퍼킹:사람이 직접 잘 익은 체리만을 일일이 손으로 수확하므로 커피 품질이 우수하다. 하지만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으며 대부분 습식 가공 생산국가에서 사용한다.
2. 스티리핑:체리가 어느 정도 익었을 때 커피나무 줄을 따라 나무 아래에 천을 깔고 손으로 훑어 한번에 모든 체리를 수확하는 방법으로 수확기에 비가 오지 않고 비교적 체리가 균일하게 익는 지역에 적합하지만 커피나무에 손상을 주어 품질이 균일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대부분 로부스타 생산국가와 건식가공 커피를 생산하는 나라에서는 이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3. 기계수확:브라질처럼 경작지가 평지이고 커피나무 줄 간격이 넓은 지역이나 하와이처럼 노동력이 부족하거나 임금이 비싼 지역에서 주로 시행하는 수확방법으로 나무의 키와 폭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기계를 이용하여 브라질에서 처음 개발되어 사용하고 있다. 커피나무의 줄을 따라 이동하면서 유리섬유나 나일론으로 된 막대로 나무에 진동을 주면 익은 체리는 떨어지고 안 익은 체리는 나무에 달라붙어 있는데, 떨어진 익은 체리를 모아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나뭇잎이나 다른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선별 수확이 어렵고 나무에 손상을 줄 수 있어 대항 수확물을 처리하기 위한 시설이 필요하고 고가의 기계 구입비용이 들고 기계사용이 가능한 지역으로 한정된다는 단점이 있다.
좋은 품질의 원두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로스팅 전에 결점두를 선별해내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미성숙 상태의 생두, 썩은 생두, 가공 중에 발생되는 생두의 손상, 벌레 먹은 생두, 수확과정에서 생두와 같이 실려오는 돌, 옥수수 등을 건강한 생두로부터 분리해 내는 과정이다.
'coffee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는 커피 로스팅을 어떤방식으로 할까 (0) | 2022.06.17 |
---|---|
커피의 가공과 건조하는 방법에는? (0) | 2022.06.17 |
커피의 주요산지-아프리카,아시아 (0) | 2022.06.17 |
커피의 주요산지인 중남미의 종류에는 (0) | 2022.06.17 |
커피의 주요 품종 - 아라비카종 종류 (0) | 2022.06.17 |